에탈 위치
대수기하학에서 에탈 위치(étale位置, 영어: étale site)는 스킴과 스킴 사상의 범주에, 치역들의 합집합이 공역인 에탈 사상의 족을 덮개로 삼은 그로텐디크 위상을 부여하여 얻은 위치이다.
정의
[편집]같은 공역을 갖는 에탈 사상들의 집합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에탈 덮개(영어: étale cover)라고 한다.
에탈 덮개는 스킴의 범주 위의 그로텐디크 준위상을 이룬다. 이로 정의되는 그로텐디크 위상을 에탈 위상(영어: étale topology)이라고 한다. 에 에탈 위상을 부여하여 얻은 위치를 에탈 위치라고 하며, 라고 하자.
스킴 위의 큰 에탈 위치(영어: big étale site) 는 범주로서 스킴 범주의 조각 범주 이며, 그 위의 그로텐디크 위상은 역시 에탈 덮개에 의하여 주어진다.
스킴 위의 작은 에탈 위치(영어: small étale site)는 범주로서 가운데 에탈 사상으로만 구성된 충만한 부분 범주이다. 이 위의 그로텐디크 위상은 역시 에탈 덮개로 주어진다.
성질
[편집]아핀 스킴의 에탈 덮개
[편집]아핀 스킴 의 임의의 에탈 덮개 에 대하여, 이를 세분하는 에탈 덮개
가 존재한다. 즉, 아핀 스킴의 에탈 위상을 다루려면 에탈 환 준동형 만을 고려하면 된다.
에탈 층
[편집]범주 값을 갖는 위의 에탈 준층(영어: étale presheaf)은 작은 에탈 위치 위의 함자 이다. 에탈 층(영어: étale sheaf)은 층 공리를 만족시키는 에탈 준층이다. 값을 갖는, 위의 에탈 층들의 범주를 라고 쓰자.
마찬가지로, 큰 에탈 위치 위의 (준)층을 정의할 수 있다. 작은 에탈 위치는 큰 에탈 위치의 부분 위치이므로, 모든 큰 에탈 (준)층은 작은 에탈 (준)층으로 제한할 수 있다. 모든 작은 에탈 층은 큰 에탈 층으로 나타낼 수 있지만, 그 역은 불가능하다.[1]:111, Remark III.3.2(b) 이 경우, 아벨 군 값의 층의 제한 함자
는 완전 함자이며, 이 함자 아래 단사 대상의 상은 단사 대상이다. 즉, 큰 에탈 위치 위의 층의 에탈 코호몰로지는 작은 에탈 위치 위에서의 에탈 코호몰로지와 같다.[1]:110, Proposition III.3.1(c); 111, Remark III.3.2(a)
에탈 국소환
[편집]스킴은 국소환 달린 공간이므로, 구조층의 (자리스키 위상에서의) 줄기는 가환 국소환을 이룬다. 그러나 에탈 위상은 자리스키 위상보다 더 섬세하며, 따라서 줄기는 특별한 가환환인 순 헨젤 국소환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자리스키 위상과 에탈 위상의 중간에 있는 니스네비치 위상에서의 줄기는 헨젤 국소환이다.)
구체적으로, 스킴 의 기하학적 점
가 주어졌다고 하자 (는 대수적으로 닫힌 체). 그렇다면, 에서 구조층 의 에탈 줄기(영어: étale stalk)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의 모든 에탈 근방
- (는 에탈 사상)
에 대한 귀납적 극한이다.
임의의 스킴 및 기하학적 점 에 대하여, 에탈 줄기 는 자리스키 줄기 의 순 헨젤화와 동형이다. 여기서 는 한원소 공간인 의 유일한 점의 (연속 함수 에 대한) 상이다.
직관적으로, 에탈 사상은 국소 동형 사상에 해당하므로, 이는 헨젤 보조정리의 필요충분조건과 같다.
토포스 이론에서, 에탈 국소환은 국소환 달린 토포스인 에탈 토포스의 줄기로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위상과의 비교
[편집]다음과 같은 비교가 존재한다.
역사
[편집]알렉산더 그로텐디크가, 유한체에 대한 대수다양체에 대한 일련의 추측들인 베유 추측을 증명하기 위하여 1960년에 도입하였다.[2]
에탈 위상의 정의는 위상 공간의 범주의 다음과 같은 성질에서 기인한다. 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의 범주 위에는 다음과 같은 두 그로텐디크 준위상을 생각할 수 있다.
- 보통 위상: 위상 공간 의 덮개는 연속 함수의 족 가운데, 각 의 상이 열린집합이며, 는 와 사이의 위상 동형을 정의하며, 이다. 이 위치를 라고 하자.
- ‘에탈 위상’: 위상 공간 의 덮개는 연속 함수의 족 가운데, 각 는 에탈 함수이며, 이다. 이 위치를 라고 하자.
여기서 ‘에탈 함수’ 는 연속 함수 가운데, 임의의 에 대하여 가 와 사이의 위상 동형을 정의하게 하는 열린 근방 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층의 에탈 공간의 정의에 등장한다.) 이 경우 모든 열린 덮개는 에탈 덮개이다. 반대로, 모든 에탈 덮개는 (에탈 함수의 정의에 따라) 모든 에탈 덮개는 열린 덮개인 세분을 갖는다. 따라서, 이 두 준위상은 같은 그로텐디크 위상을 정의한다.
스킴의 경우, 위 두 정의를 그대로 번역할 수 있다. (첫째 정의를 번역하면 자리스키 위상을 얻으며, 덮개는 상들의 합집합이 공역 전체인 열린 몰입의 족이다. 둘째 정의를 번역하면 에탈 위상을 얻는다.) 그러나 이 경우 에탈 위상은 자리스키 위상보다 훨씬 더 섬세한 그로텐디크 위상을 이룬다. 이는 스킴의 자리스키 위상이 (복소다양체의 해석적 위상보다) 너무나 엉성하기 때문이며, 이 경우 에탈 위상이 더 해석적 위상에 가까운 그로텐디크 위상을 정의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Milne, James S. (1980). 《Étale cohomology》. Princeton Mathematics Series (영어) 33.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8238-7. Zbl 0433.14012.
- ↑ Grothendieck, Alexander (1960). 〈The cohomology theory of abstract algebraic varieti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Edinburgh, 1958)》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3–118쪽. MR 0130879.
외부 링크
[편집]- Conrad, Brian (2016년 10월 12일). “The étale topology” (PDF) (영어).
- “Étale site”. 《nLab》 (영어).
- “Étale cover”. 《nLab》 (영어).
- “Étale topos”. 《nLab》 (영어).
- “Little etale topos”. 《nLab》 (영어).
- “In what sense is the étale topology equivalent to the Euclidean topology?”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