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ntity of Type: Thing, from Named Graph: http://dbpedia.org, within Data Space: dbpedia.org

The psychology of programming (PoP) is the field of research that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writing programs (often computer programs). The field has also been called the empirical studies of programming (ESP). It covers research into computer programmers' cognition, tools and methods for programming-related activities, and programming education. Psychologically, computer programming is a human activity which involves cognition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computer language, learning,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Property Value
dbo:abstract
  • The psychology of programming (PoP) is the field of research that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writing programs (often computer programs). The field has also been called the empirical studies of programming (ESP). It covers research into computer programmers' cognition, tools and methods for programming-related activities, and programming education. Psychologically, computer programming is a human activity which involves cognition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computer language, learning,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en)
  • ( 책에 대해서는 프로그래밍 심리학 (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프로그래밍 심리학(영어: PoP : The Psychology of Programming)은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한 분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과정에서 인간이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학문이다. 심리학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언어를 읽고 쓰는(reading and writing) 것, 학습(learning)하는 것, 문제해결(problem solving)과 추론(reasoning)하는 것들과 같은 인지(cognitive) 행위일 뿐만아니라 IT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개인과 집단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역동적 상호작용문제를 다룬다. 또 팀의 리더들도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다루는 분야이다. 프로그래밍 심리학에 대한 연구는 프로그래머들에게 심리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미국을 중심으로 경험적 연구(Empirical Studies of Programming :ESP)를 통해 진행되었다. 유럽에서는 PPIG PPIG(Psychology of Programming Interest Group)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미국을 중심으로한 ESP 연구는 1986~1999년까지 이루어졌으며 그후에는 VL/HCC (Visual Language/Human Centered Computing)로 통합되었다. 유럽을 중심으로한 PPIG 워크샵은 현재도 1년에 한번씩 영국, 독일, 포르투칼, 스페인을 순회하여 열리고 있다. 프로그래밍 심리학 연구는 컴퓨터 프로그래머의 인지,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행위의 도구와 방법, 프로그래밍 교육을 연구한다. 프로그래밍 심리학이라는 용어는 1971년 제럴드 마빈 와인버그(Gerald Marvin Weinberg)의 책 《프로그래밍 심리학》으로 처음 알려졌다. 제럴드 와인버그는 이 도서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과정을 인간의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적 활동, 개인적 특성으로 파악하고 프로그래머를 프로그래밍을 하는 과정의 도구의 관점에서도 기술하였다. 국내에서는 한서대학교 이재용 교수가 "프로그래머는 왜 심리문제에 골몰하는가 - 메타인지를 위한 프로그래밍 심리학"을 출판하여 프로그래밍 심리학을 적극 소개하고 있다. (ko)
dbo:wikiPageExternalLink
dbo:wikiPageID
  • 4119246 (xsd:integer)
dbo:wikiPageLength
  • 5016 (xsd:nonNegativeInteger)
dbo:wikiPageRevisionID
  • 1101207616 (xsd:integer)
dbo:wikiPageWikiLink
dbp:wikiPageUsesTemplate
dct:subject
gold:hypernym
rdfs:comment
  • The psychology of programming (PoP) is the field of research that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writing programs (often computer programs). The field has also been called the empirical studies of programming (ESP). It covers research into computer programmers' cognition, tools and methods for programming-related activities, and programming education. Psychologically, computer programming is a human activity which involves cognition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computer language, learning,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en)
  • ( 책에 대해서는 프로그래밍 심리학 (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프로그래밍 심리학(영어: PoP : The Psychology of Programming)은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한 분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과정에서 인간이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학문이다. 심리학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언어를 읽고 쓰는(reading and writing) 것, 학습(learning)하는 것, 문제해결(problem solving)과 추론(reasoning)하는 것들과 같은 인지(cognitive) 행위일 뿐만아니라 IT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개인과 집단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역동적 상호작용문제를 다룬다. 또 팀의 리더들도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다루는 분야이다. 프로그래밍 심리학 연구는 컴퓨터 프로그래머의 인지,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행위의 도구와 방법, 프로그래밍 교육을 연구한다. 프로그래밍 심리학이라는 용어는 1971년 제럴드 마빈 와인버그(Gerald Marvin Weinberg)의 책 《프로그래밍 심리학》으로 처음 알려졌다. (ko)
rdfs:label
  • 프로그래밍 심리학 (ko)
  • Psychology of programming (en)
owl:sameAs
prov:wasDerivedFrom
foaf:isPrimaryTopicOf
is dbo:wikiPageRedirects of
is dbo:wikiPageWikiLink of
is foaf:primaryTopic of
Powered by OpenLink Virtuoso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W3C Semantic Web Technology     This material is Open Knowledge    Valid XHTML + RDFa
This content was extracted from Wikipedia and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