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상규
보이기
백상규 | |
---|---|
출생 | 1880년 10월 4일 조선 장단도호부 |
사망 | 1957년 12월 26일 | (77세)
성별 | 남성 |
국적 | 조선→대한제국→대한민국 |
백상규(白象圭, 1880년 10월 4일[1]~1957년 12월 26일[2])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 국회의원이었다.
생애
[편집]동양척식주식회사 위원을 지낸 친일파 금융인이자 기업인인 백완혁(白完爀)의 아들이다. 순종 때 내부비서관과 내부대신 비서관을 지냈다. 미국 브라운 대학교를 졸업한 후 보성전문학교 교수를 지냈다.
1945년 9월 8일 새벽, 조한용, 여운홍과 함께, 인천으로 상륙한 미 24군단 사령관 존 하지에게 면담을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하였다. 백상규는 유창한 영어로 자신이 브라운 대학교를 장학생으로 졸업했다는 것을 포함하여 자기 일행이 온 목적을 설명했다. 명문 브라운 대의 장학생이라는 것은 미군에게 놀라운 일이었다. 미군 장교 가운데 브라운 대학교 출신이 있어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학교의 건물 모양에서부터 교수 이름에 이르기까지 몇 차례 질문이 오고갔다. 장교는 "적어도 한때 브라운대 학생이었던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라는 보증을 섰다. 그러나 하지는 면담을 거절하였다.[3][4]
약력
[편집]일화
[편집]- 해방 이후 초기 적십자사 활동에 열성적이었던 백상규는 대한적십자사에 20만평의 토지를 기부하였다.
- 1950년 3월 학제 변경으로 이화여중이 여고와 여중으로 분리되어 신축교사가 필요했던 이화여중에 백상규는 자신과 아들 소유의 서울 종로구 서린동 소재의 100만평대 땅을 희사했다고 한다.[5]
- 장단군 출신의 대지주로서 한국전쟁 때 납북된 후 1973년 당시 싯가 3억원 짜리의 서울시 종로구 명륜동 1가 소재 앵두밭을 두고 가족과 관리인 등 간에 17년에 걸쳐 주인이 10 차례 바뀌는 '해방 이후 최장기 소유권 분쟁'이 있었다.[6]
가족관계
[편집]역대 선거 결과
[편집]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1950년 | 총선 | 2대 | 국회의원 | 경기 장단군 | 무소속 | 4,315표 |
|
1위 | 초선 |
참고 자료
[편집]각주
[편집]- ↑ [1]
- ↑ 《민족21》 (2004.5.1) 평양룡성구역 '재북인사들의 묘'를 가다 - 62기 중 안재홍 이광수 김효석 조헌영...등 좌우 인사 39명 묘소 최초 공개 Archived 2007년 10월 6일 - 웨이백 머신
- ↑ 조용중 (1990). 《미군정하의 한국정치현장》. 나남. 41~43쪽.
- ↑ 그레고리 헨더슨 (2000). 《소용돌이의 한국정치》. 박행웅·이종삼 옮김. 한울아카데미. 205~206쪽.
- ↑ 경향신문 1950년 3월 19일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003190032920200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0-03-19&officeId=00032&pageNo=2&printNo=1110&publishType=00020"
- ↑ 경향신문 1973년 10월 1일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100100329206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10-01&officeId=00032&pageNo=6&printNo=8619&publishType=00020"
- ↑ 경향신문 1966년 7월 14일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6071400329203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6-07-14&officeId=00032&pageNo=3&printNo=6383&publishType=00020"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