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범주론에서 왼쪽 역사상(-逆寫像, 영어: left inverse morphism)과 오른쪽 역사상(-逆寫像, 영어: right inverse morphism)은 각각 왼쪽 또는 오른쪽에서 합성하였을 때 항등 사상이 되는 사상이다. 왼쪽 역사상 및 오른쪽 역사상을 갖는 사상을 각각 분할 단사 사상(分割單射寫像, 영어: split monomorphism)과 분할 전사 사상(分割全射寫像, 영어: split epimorphism)이라고 한다.
정의
[편집]범주 의 두 사상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가 성립할 경우, 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는 의 왼쪽 역사상(-逆寫像, 영어: left inverse morphism) 또는 수축(收縮, 영어: retraction)이다.
- 는 의 오른쪽 역사상(-逆寫像, 영어: right inverse morphism) 또는 단면(斷面, 영어: section)이다.
- 만약 추가로 가 성립한다면 (즉, 가 의 왼쪽 역사상이자 오른쪽 역사상이라면), 를 의 양쪽 역사상(兩-逆寫像,영어: two-sided inverse morphism)이라고 한다.
여기서 "수축"/"단면"이라는 이름은 위상수학에서 유래하였다. 즉, 오른쪽 역사상은 위상 공간의 범주에서 올다발의 단면을 일반화한 것이다.
왼쪽 역사상을 갖는 사상을 분할 단사 사상(分割單射寫像, 영어: split monomorphism)이라고 한다. 오른쪽 역사상을 갖는 사상을 분할 전사 사상(分割全射寫像, 영어: split epimorphism)이라고 한다. 양쪽 역사상을 갖는 사상을 동형 사상이라고 한다.
어떤 범주에서 모든 단사 사상이 분할 단사 사상이라면, 이 범주에서 선택 공리가 성립한다고 한다.
성질
[편집]함의 관계
[편집]이름과 같이, 모든 분할 단사 사상은 항상 단사 사상이며, 모든 분할 전사 사상은 항상 전사 사상이다.
증명:
분할 단사 사상과 분할 전사 사상은 서로 쌍대 개념이다. 즉, 범주 에서의 분할 단사 사상은 그 반대 범주 에서의 분할 전사 사상이며, 그 역도 성립한다.
임의의 범주의 사상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그러나 단사 사상이자 전사 사상인 사상이 동형 사상일 필요는 없다.)
증명:
유일성
[편집]주어진 사상의 왼쪽 역사상 또는 오른쪽 역사상은 (만약 존재한다면) 일반적으로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양쪽 역사상은 (만약 존재한다면) 항상 유일하다.
단사·사영 대상과의 관계
[편집]임의의 범주에서, 정의역이 단사 대상인 단사 사상은 분할 단사 사상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범주에서, 공역이 사영 대상인 전사 사상은 분할 전사 사상이다.
예
[편집]집합
[편집]- 분할 단사 사상은 공역이 공집합이거나 정의역이 공집합이 아닌 단사 함수이다.
- 전사 사상과 분할 전사 사상의 개념이 일치한다. (이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 선택 공리와 동치이다.)
군
[편집]군과 군 준동형의 범주 에서, 단사 사상은 단사 함수인 군 준동형이며, 전사 사상은 전사 함수인 군 준동형이다. 이 범주에서, 분할 단사·전사 사상의 개념은 반직접곱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단사 군 준동형 가 분할 단사 사상일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마찬가지로, 전사 군 준동형 가 분할 전사 사상이 될 필요충분조건은 다음과 같다.
- 이다. (여기서 는 반직접곱을 뜻한다.)
위상 공간
[편집]위상 공간과 연속 함수의 범주 에서는 분할 단사 사상이 아닌 단사 사상이 존재하며, 분할 전사 사상이 아닌 전사 사상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에서, 단사 사상은 단사 함수인 연속 함수이며, 전사 사상은 전사 함수인 연속 함수이며, 동형 사상은 위상 동형이다. 전단사 함수이자 연속 함수이지만, 그 역함수가 연속 함수가 아니어서 위상 동형이 아닌 함수가 존재한다. 이러한 함수는 단사 사상이자 전사 사상이지만, 분할 단사 사상이 아니며 분할 전사 사상도 아니다.
원순서 집합
[편집]원순서 집합 을 작은 범주로 간주하였을 때, 모든 분할 단사 사상 및 분할 전사 사상은 동형 사상이다.
아벨 범주
[편집]아벨 범주에서 사상 이 단사 사상인 것은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이 존재하는 것과 동치이다.
(여기서 은 아벨 범주의 영 대상이며, 는 여핵을 뜻한다.) 이 경우, 가 분할 단사 사상인 것은 위 짧은 완전열이 분할 완전열인 것과 동치이다.
마찬가지로, 아벨 범주에서 사상 이 전사 사상인 것은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이 존재하는 것과 동치이다.
(여기서 은 아벨 범주의 영 대상이며, 는 핵을 뜻한다.) 이 경우, 가 분할 전사 사상인 것은 위 짧은 완전열이 분할 완전열인 것과 동치이다.
참고 문헌
[편집]- Mac Lane, Saunders (1998). 《Categories for the working mathematician》.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 2판. Springer. doi:10.1007/978-1-4757-4721-8. ISBN 978-1-4419-3123-8. ISSN 0072-5285. MR 1712872. Zbl 0906.18001.
외부 링크
[편집]- “Retract”.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Inverse”. 《nLab》 (영어).
- “Section”. 《nLab》 (영어).
- “Retract”. 《nLab》 (영어).
- “Split monomorphism”. 《nLab》 (영어).
- “Split epimorphism”. 《nLab》 (영어).
- “Definition: retraction”. 《ProofWiki》 (영어).
- “Definition: retract”. 《ProofWiki》 (영어).
- “Definition: section (category theory)”. 《ProofWiki》 (영어).
- “Definition: split monomorphism”. 《ProofWiki》 (영어).
- “Definition: split epimorphism”. 《ProofWiki》 (영어).
- “Split monomorphism is monic”. 《ProofWiki》 (영어).
- “Split epimorphism is epic”. 《ProofWiki》 (영어).
- “Monomorphism that is split epimorphism is split monomorphism”. 《ProofWiki》 (영어).
- “Epimorphism that is split monomorphism is split epimorphism”. 《ProofWiki》 (영어).
- “Epimorphism into projective object splits”. 《ProofWiki》 (영어).
- Yuan, Qiaochu (2012년 10월 1일). “Split epimorphisms and split monomorphisms”. 《Annoying Precision》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