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토피 이론 에서 단체 집합 (單體集合, 영어 : simplicial set )은 위상 공간 의 조합론적인 표현의 일종이다.[ 1] [ 2] [ 3] [ 4] 위상 공간이나 단체 복합체 등과 달리, 단체 집합의 범주는 토포스 를 이루므로, 그 속에서 호모토피 이론 을 전개하기가 용이하다.
단체 집합 은 집합과 함수의 범주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
속의 단체 대상 , 즉 함자
X
∙
:
△
op
→
Set
{\displaystyle X_{\bullet }\colon \triangle ^{\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et} }
이다. 마찬가지로, 첨가 단체 집합 (添加單體集合, 영어 : augmented simplicial set )은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
속의 첨가 단체 대상 , 즉 함자
X
∙
:
△
+
op
→
Set
{\displaystyle X_{\bullet }\colon \triangle _{+}^{\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et} }
이다.
여기서
△
{\displaystyle \triangle }
은 단체 범주 이며,
△
+
{\displaystyle \triangle _{+}}
는 첨가 단체 범주 이다.
다시 말해,
X
−
1
=
S
{\displaystyle X_{-1}=S}
인 첨가 단체 집합
X
∙
{\displaystyle X_{\bullet }}
은 조각 범주
Set
/
S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S}
위의 단체 대상과 같다.
단체 집합의 범주는 토포스 이므로, 이 속에서 정의되는 모든 연산을 취할 수 있다. 특히, 곱 · 쌍대곱 · 밂 등이 모두 존재한다.
단체 집합의 범주에서, 시작 대상 은 공집합
∅
∙
:
△
op
→
Set
{\displaystyle \varnothing _{\bullet }\colon \triangle ^{\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et} }
∅
∙
:
n
↦
∅
∀
n
∈
△
{\displaystyle \varnothing _{\bullet }\colon n\mapsto \varnothing \qquad \forall n\in \triangle }
이며, 끝 대상 은 한원소 공간
1
∙
:
△
op
→
Set
{\displaystyle 1_{\bullet }\colon \triangle ^{\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et} }
1
∙
:
n
↦
{
∙
}
∀
n
∈
△
{\displaystyle 1_{\bullet }\colon n\mapsto \{\bullet \}\qquad \forall n\in \triangle }
이다. (여기서
{
∙
}
{\displaystyle \{\bullet \}}
은 한원소 집합 이다.) 즉, 이는 각 차원에서 하나의 단체만을 가지며, 모든 단체가 퇴화 단체인 단체 집합이다.
단체 집합의 범주
s
(
Set
)
{\displaystyle \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
와 위상 공간 의 범주
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
사이에 다음과 같은 두 개의 함자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수반 함자 를 이룬다.
s
(
Set
)
⇆
|
⋅
|
S
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overset {S}{\underset {|\cdot |}{\leftrightarrows }}}\,\operatorname {Top} }
|
⋅
|
⊣
Sing
{\displaystyle |\cdot |\dashv \operatorname {Sing} }
여기서
Sing
{\displaystyle \operatorname {Sing} }
을 특이 단체 함자 (特異單體函子, 영어 : singular simplex functor ),
|
⋅
|
{\displaystyle |\cdot |}
을 기하학적 실현 함자 (幾何學的實現函子, 영어 : geometric realization functor )라고 한다.
위상 공간
Y
{\displaystyle Y}
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특이 단체 집합 (영어 : singular simplicial set )
Sing
(
Y
)
{\displaystyle \operatorname {Sing} (Y)}
는 다음과 같다.
Sing
(
Y
)
n
=
hom
top
(
△
n
,
Y
)
{\displaystyle \operatorname {Sing} (Y)_{n}=\hom _{\operatorname {top} }(\triangle ^{n},Y)}
여기서
△
n
{\displaystyle \triangle ^{n}}
은
n
{\displaystyle n}
차원 단체 이다. 즉, 함자
Sing
(
Y
)
{\displaystyle \operatorname {Sing} (Y)}
의
n
{\displaystyle n}
차 성분은
Y
{\displaystyle Y}
의
n
{\displaystyle n}
차원 특이 단체들의 집합이다. 이는 특이 호몰로지 에서 사용되는 특이 단체와 같다.
단체 집합
X
{\displaystyle X}
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실현
|
X
|
{\displaystyle |X|}
는 다음과 같은 위상 공간 이다.
|
X
|
=
(
⨆
n
X
n
×
△
n
)
/
∼
{\displaystyle |X|=\left(\bigsqcup _{n}X_{n}\times \triangle ^{n}\right)/{\sim }}
여기서
△
n
{\displaystyle \triangle ^{n}}
은
n
{\displaystyle n}
차원 표준 단체 이며,
∼
{\displaystyle \sim }
은
(
x
,
S
i
(
p
)
)
∼
(
s
i
(
x
)
,
p
)
∀
p
∈
△
n
{\displaystyle (x,S_{i}(p))\sim (s_{i}(x),p)\qquad \forall p\in \triangle ^{n}}
(
x
,
D
i
(
p
)
)
∼
(
d
i
(
x
)
,
p
)
∀
p
∈
△
n
{\displaystyle (x,D_{i}(p))\sim (d_{i}(x),p)\qquad \forall p\in \triangle ^{n}}
로부터 생성되는 동치 관계 이다. 여기서
d
i
:
{
0
,
1
,
…
,
n
−
1
}
→
{
0
,
1
,
…
,
n
}
{\displaystyle d_{i}\colon \{0,1,\dots ,n-1\}\to \{0,1,\dots ,n\}}
는 상이
{
0
,
1
,
…
,
n
}
∖
{
i
}
{\displaystyle \{0,1,\dots ,n\}\setminus \{i\}}
인 유일한 증가 단사 함수 이며,
s
i
:
{
0
,
1
,
…
,
n
}
→
{
0
,
1
,
…
,
n
−
1
}
{\displaystyle s_{i}\colon \{0,1,\dots ,n\}\to \{0,1,\dots ,n-1\}}
는
i
∈
{
0
,
1
,
…
,
n
}
{\displaystyle i\in \{0,1,\dots ,n\}}
를 제외하고는 단사 함수인 유일한 증가 전사 함수 이다.
D
i
:
△
n
→
△
n
+
1
{\displaystyle D_{i}\colon \triangle ^{n}\to \triangle ^{n+1}}
및
S
i
:
△
n
→
△
n
−
1
{\displaystyle S_{i}\colon \triangle ^{n}\to \triangle ^{n-1}}
는 이와 유사하지만, 표준 단체에 작용하는 연속 함수 들이다.
단체 집합
X
∙
{\displaystyle X_{\bullet }}
이 주어졌을 때, 각 차수에 대하여 자유 아벨 군 을 취하자.
C
n
=
Z
⊕
X
n
{\displaystyle C_{n}=\mathbb {Z} ^{\oplus X_{n}}}
그렇다면, 이 위에
∂
n
,
i
{\displaystyle \partial _{n,i}}
및
s
n
,
i
{\displaystyle s_{n,i}}
를 선형으로 연장할 수 있다. 그렇다면,
C
n
{\displaystyle C_{n}}
은 단체 아벨 군 을 이룬다. 그 표준 사슬 복합체
∂
n
:
C
n
→
C
n
−
1
{\displaystyle \partial _{n}\colon C_{n}\to C_{n-1}}
∂
n
=
∑
i
=
0
n
∂
n
,
i
{\displaystyle \partial _{n}=\sum _{i=0}^{n}\partial _{n,i}}
의 호몰로지 를 단체 집합
X
{\displaystyle X}
의 단체 호몰로지 (單體homology, 영어 : simplicial homology )라고 한다. 이는 그 기하학적 실현의 특이 호몰로지 와 같다. (단체 호몰로지의 계산에서, 퇴화 사상은 사용되지 않는다.)
표준 단체
△
n
=
{
t
→
∈
R
n
+
1
:
∑
i
=
0
n
t
i
=
1
}
{\displaystyle \triangle ^{n}=\left\{{\vec {t}}\in \mathbb {R} ^{n+1}\colon \sum _{i=0}^{n}t_{i}=1\right\}}
위의 유리수 계수 다항식 미분 형식 (영어 : rational-coefficient polynomial differential form )은 다음과 같은 꼴의 항들의 (유한, 유리수 계수) 선형 결합 이다.
ϕ
i
0
,
i
1
,
…
,
i
n
d
t
i
0
∧
d
t
i
1
∧
⋯
∧
d
t
i
n
(
ϕ
i
0
,
i
1
,
…
,
i
n
∈
Q
[
t
0
,
…
,
t
n
]
,
i
0
<
i
1
<
⋯
<
i
n
)
{\displaystyle \phi _{i_{0},i_{1},\dotsc ,i_{n}}\mathrm {d} t_{i_{0}}\wedge \mathrm {d} t_{i_{1}}\wedge \dotsb \wedge \mathrm {d} t_{i_{n}}\qquad (\phi _{i_{0},i_{1},\dotsc ,i_{n}}\in \mathbb {Q} [t_{0},\dotsc ,t_{n}],\;i_{0}<i_{1}<\dotsb <i_{n})}
이들의 유리수 벡터 공간 을
Ω
PL
(
n
)
{\displaystyle \Omega _{\text{PL}}(n)}
으로 표기하자. 이는 외미분 및 쐐기곱 을 통해 자연수 등급 가환 미분 등급 대수 를 이룬다.
이제, 함자
Ω
PL
:
△
→
CDGA
≥
0
op
{\displaystyle \Omega _{\text{PL}}\colon \triangle \to \operatorname {CDGA} _{\geq 0}^{\operatorname {op}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Ω
PL
:
n
↦
Ω
PL
(
n
)
{\displaystyle \Omega _{\text{PL}}\colon n\mapsto \Omega _{\text{PL}}(n)}
임의의 증가 함수
f
:
{
0
,
1
,
…
,
m
}
→
{
0
,
1
,
…
,
n
}
{\displaystyle f\colon \{0,1,\dotsc ,m\}\to \{0,1,\dotsc ,n\}}
에 대하여,
Ω
PL
(
f
)
:
t
i
↦
∑
j
∈
f
−
1
(
i
)
t
j
{\displaystyle \Omega _{\text{PL}}(f)\colon t_{i}\mapsto \sum _{j\in f^{-1}(i)}t_{j}}
Ω
PL
(
f
)
:
d
t
i
↦
∑
j
∈
f
−
1
(
i
)
d
t
j
{\displaystyle \Omega _{\text{PL}}(f)\colon \mathrm {d} t_{i}\mapsto \sum _{j\in f^{-1}(i)}\mathrm {d} t_{j}}
그렇다면, 이 함자의 왼쪽 칸 확대 를 통해 함자
Ω
PL
:
s
(
Set
)
→
CDGA
≥
0
op
{\displaystyle \Omega _{\text{PL}}\colon \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to \operatorname {CDGA} _{\geq 0}^{\operatorname {op} }}
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단체 집합 위의 유리수 계수 다항식 미분 형식 들의 유리수 계수 자연수 등급 가환 미분 등급 대수 라고 한다.
이는 오른쪽 수반 함자
R
:
CDGA
≥
0
op
→
s
(
Set
)
{\displaystyle R\colon \operatorname {CDGA} _{\geq 0}^{\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
를 가지며, 이는 퀼런 수반 함자
Ω
PL
⊣
R
{\displaystyle \Omega _{\text{PL}}\dashv R}
를 이룬다.[ 5] :§8
단체 집합의 범주
s
(
Set
)
{\displaystyle \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
는 집합 값을 갖는 준층 의 범주이므로, 그로텐디크 토포스 를 이룬다. 특히, 이는 완비 범주 이자 쌍대 완비 범주 이며 데카르트 닫힌 범주 이다.
기하학적 실현 함자
|
⋅
|
:
s
(
Set
)
→
Top
{\displaystyle |\cdot |:\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to \operatorname {Top} }
는 오른쪽 수반 함자 를 가지므로 쌍대 극한 을 보존하지만 유한 극한 은 보존하지 않는다. 이때, 기하학적 실현 함자의 공역을 콤팩트 생성 하우스도르프 공간 의 범주
CGHaus
{\displaystyle \operatorname {CGHaus} }
따위의 범주로 바꾸면 이 함자는 유한 극한 을 보존하게 된다.[ 6] :49
또한, 단체 집합
X
{\displaystyle X}
의 기하학적 실현
|
X
|
{\displaystyle |X|}
는 언제나 CW 복합체 이며, 특히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다.[ 6] :p. 46
단체 집합의 범주
s
(
Set
)
{\displaystyle \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
는 표준적으로 모형 범주 의 구조를 갖는다.
단체 집합
E
{\displaystyle E}
,
B
{\displaystyle B}
사이의 사상
π
:
E
→
B
{\displaystyle \pi \colon E\to B}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칸 올뭉치 (영어 : Kan fibration )라고 한다.
임의의 단체
△
n
{\displaystyle \triangle ^{n}}
의 뿔
ι
:
∧
k
n
↪
△
n
{\displaystyle \iota \colon \wedge _{k}^{n}\hookrightarrow \triangle ^{n}}
및 사상
f
~
0
:
∧
k
n
→
X
{\displaystyle {\tilde {f}}_{0}\colon \wedge _{k}^{n}\to X}
및
f
:
△
n
→
B
{\displaystyle f\colon \triangle ^{n}\to B}
에 대하여, 만약
f
∘
ι
=
π
∘
f
~
0
{\displaystyle f\circ \iota =\pi \circ {\tilde {f}}_{0}}
라면,
f
~
∘
ι
=
f
~
0
{\displaystyle {\tilde {f}}\circ \iota ={\tilde {f}}_{0}}
이고
π
∘
f
~
=
f
{\displaystyle \pi \circ {\tilde {f}}=f}
인
f
~
:
△
n
→
E
{\displaystyle {\tilde {f}}\colon \triangle ^{n}\to E}
가 존재한다. 즉, 다음 그림과 같다.
∧
k
n
→
f
~
0
E
ι
↓
↗
∃
f
~
↓
π
△
n
→
f
B
{\displaystyle {\begin{matrix}\wedge _{k}^{n}&{\xrightarrow {{\tilde {f}}_{0}}}&E\\{\scriptstyle \iota }\downarrow &\nearrow \scriptstyle \exists {\tilde {f}}&\downarrow \scriptstyle \pi \\\triangle ^{n}&{\xrightarrow[{f}]{}}&B\end{matrix}}}
이는 (위상 공간의) 올뭉치 의 정의와 매우 유사하다. 칸 올뭉치의 기하학적 실현은 항상 세르 올뭉치 를 이룬다.
∙
{\displaystyle \bullet }
이 하나의 점만을 갖는 단체 집합일 경우, 칸 복합체 (Kan複合體, 영어 : Kan complex )는
∙
{\displaystyle \bullet }
으로 가는 유일한 사상이 칸 올뭉치를 이루는 단체 집합이다.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단체 집합의 범주에서 표준
n
{\displaystyle n}
차원 단체 (영어 : standard
n
{\displaystyle n}
-simplex )
△
n
{\displaystyle \triangle ^{n}}
는
hom
△
(
−
,
Δ
n
)
{\displaystyle \hom _{\triangle }(-,\Delta _{n})}
로 정의되며, 요네다 보조정리 에 의해
hom
s
(
Set
)
(
△
n
,
Y
)
≅
Y
(
n
)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triangle ^{n},Y)\cong Y(n)}
가 성립한다.
표준
n
{\displaystyle n}
차원 단체
△
n
{\displaystyle \triangle ^{n}}
가 주어졌을 때,
k
∈
{
0
,
…
,
n
}
{\displaystyle k\in \{0,\dots ,n\}}
에 대하여,
∧
k
n
{\displaystyle \wedge _{k}^{n}}
가
∂
△
n
{\displaystyle \partial \triangle ^{n}}
에서
k
{\displaystyle k}
번째 면들을 제거한
n
−
1
{\displaystyle n-1}
차원 단체라고 하자. 이러한 단체 집합을 뿔 (영어 : horn )이라고 한다.
만약
C
→
Set
{\displaystyle {\mathcal {C}}\to \operatorname {Set} }
가 구체적 범주 일 경우,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모든 단체 대상 은 망각 함자를 통해 단체 집합을 이룬다.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추상적) 단체 복합체
(
Σ
n
)
n
∈
N
{\displaystyle (\Sigma _{n})_{n\in \mathbb {N} }}
. 여기서
Σ
0
{\displaystyle \Sigma _{0}}
은 꼭짓점 들의 집합이며,
Σ
i
⊆
P
(
Σ
0
)
{\displaystyle \Sigma _{i}\subseteq {\mathcal {P}}(\Sigma _{0})}
는
i
+
1
{\displaystyle i+1}
개의 서로 다른 꼭짓점 들의 집합이다.
꼭짓점 집합
Σ
0
{\displaystyle \Sigma _{0}}
위의 전순서
≤
{\displaystyle \leq }
그렇다면, 다음을 정의하자.
양의 정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집합
Δ
n
{\displaystyle \Delta _{n}}
의 원소
M
{\displaystyle M}
은
Σ
0
{\displaystyle \Sigma _{0}}
의 원소들로 구성된, 크기
n
+
1
{\displaystyle n+1}
의 중복집합
M
{\displaystyle M}
가운데, 중복 원소를 제거한 집합
|
M
|
{\displaystyle |M|}
이
⨆
n
=
0
∞
Σ
n
{\displaystyle \textstyle \bigsqcup _{n=0}^{\infty }\Sigma _{n}}
에 속하는 것이다.
꼭짓점 중복집합
M
∈
Δ
n
{\displaystyle M\in \Delta _{n}}
이 주어졌다고 하자.
M
{\displaystyle M}
에서,
i
+
1
{\displaystyle i+1}
번째로 작은 원소를
m
i
∈
Σ
0
{\displaystyle m_{i}\in \Sigma _{0}}
라고 하자 (
0
≤
i
≤
n
{\displaystyle 0\leq i\leq n}
). 그렇다면,
∂
n
i
(
M
)
{\displaystyle \partial _{n}^{i}(M)}
및
s
n
i
(
M
)
{\displaystyle s_{n}^{i}(M)}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n
i
(
M
)
=
M
∖
{
m
i
}
∈
Δ
n
−
1
{\displaystyle \partial _{n}^{i}(M)=M\setminus \{m_{i}\}\in \Delta _{n-1}}
s
n
i
(
M
)
=
M
⊔
{
m
i
}
∈
Δ
n
+
1
{\displaystyle s_{n}^{i}(M)=M\sqcup \{m_{i}\}\in \Delta _{n+1}}
그렇다면,
(
Δ
n
,
∂
n
i
,
s
n
i
)
n
,
i
{\displaystyle (\Delta _{n},\partial _{n}^{i},s_{n}^{i})_{n,i}}
는 단체 집합을 이루며, 그 기하학적 실현은 원래 단체 복합체
(
Σ
n
)
n
∈
N
{\displaystyle (\Sigma _{n})_{n\in \mathbb {N} }}
의 기하학적 실현과 위상 동형 이다. 위 구성에서 꼭짓점 집합의 전순서 를 (임의로) 고른 이유는 단체 집합은 단체 복합체와 달리, 각 단체의 꼭짓점들의 순서를 기억하기 때문이다. 물론, 기하학적 실현은 이 전순서에 의존하지 않는다.
작은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표준적인 단체 집합
nerve
C
{\displaystyle \operatorname {nerve} {\mathcal {C}}}
가 존재하며, 이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신경 이라고 한다. 신경은 2-범주 의 함자
nerve
:
Cat
→
s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nerve} \colon \operatorname {Cat} \to \operatorname {sSet} }
를 정의한다.
단체 집합은 특이 코호몰로지 등을 정의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으나, 대니얼 퀼런 이 이를 사용하여 대수적 K이론 을 정의하면서 그 중요함이 알려졌다. 칸 올뭉치는 다니얼 칸 이 도입하였다.
↑ Goerss, Paul G.; Jardine, John Frederick (1999). 《Simplicial homotopy theory》. Progress in Mathematics (영어) 174 . Birkhäuser. ISBN 978-3-7643-6064-1 .
↑ Gelfand, Sergei I.; Manin, Yuri I. 《Methods of homological algebra》.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doi :10.1007/978-3-662-12492-5 .
↑ Curtis, Edward B. (1971년 4월). “Simplicial homotopy theory”.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6 (2): 107–209. doi :10.1016/0001-8708(71)90015-6 . MR 279808 .
↑ Friedman, Greg (2012). “An elementary illustrated introduction to simplicial sets”. 《Rocky Mountai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42 (2): 353–423. arXiv :0809.4221 . Bibcode :2008arXiv0809.4221F . doi :10.1216/RMJ-2012-42-2-353 . ISSN 0035-7596 . MR 2915498 . Zbl 06035442 .
↑ Bousfield, Aldridge Knight; Gugenheim, Victor K. A. M. (1976). 《On PL De Rham theory and rational homotopy type》. Memoir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179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doi :10.1090/memo/0179 . ISBN 978-0-8218-2179-4 . MR 425956 .
↑ 가 나 Gabriel, Peter; Zisman, Michel (1967). 《Calculus of fractions and homotopy theory》 (PDF) . Ergebnisse der Mathematik und ihrer Grenzgebiete (영어). Springer-Verlag. doi :10.1007/978-3-642-85844-4 . ISSN 0071-11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