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모토피 이론 에서 단체 범주 (單體範疇, 영어 : simplex category )는 공집합이 아닌 유한 정렬 집합 들의 범주이며, 첨가 단체 범주 (添加單體範疇, 영어 : augmented simplex category )는 공집합을 포함한 모든 유한 정렬 집합 들의 범주이다.[ 1] [ 2] [ 3] [ 4] 임의의 범주 속의 단체 대상 (單體對象, 영어 : simplicial object )과 첨가 단체 대상 (添加單體對象, 영어 : augmented simplicial object )은 각각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 또는 첨가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 를 정의역 으로 하는 함자 이다. 이는 일종의 위상 을 가지는 대상으로 여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상”은 특이 호몰로지 에서의 특이 단체 들을 사용하여 대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특히, 집합의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은 단체 집합 이라고 한다.
단체 범주
△
{\displaystyle \triangle }
와 첨가 단체 범주
△
+
{\displaystyle \triangle _{+}}
와 준단체 범주 (準單體範疇, 영어 : pre-simplex category )
△
pre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pre} }}
는 세 개의 특별한 작은 범주 이며, 그 개념은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세 정의는 모두 서로 동치 인 범주를 정의한다.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단체 대상 은 단체 범주 위의,
C
{\displaystyle {\mathcal {C}}}
값을 갖는 준층 이다. 즉, 함자
△
op
→
C
{\displaystyle \triangle ^{\operatorname {op} }\to {\mathcal {C}}}
이다.
마찬가지로,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첨가 단체 대상 은 첨가 단체 범주 위의,
C
{\displaystyle {\mathcal {C}}}
값을 갖는 준층 이다. 즉, 함자
△
+
op
→
C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op} }\to {\mathcal {C}}}
이다.
(첨가) 단체 대상의 사상 은 준층 의 사상, 즉 함자 사이의 자연 변환 이다.
단체 대상의 범주는 보통
s
(
C
)
=
C
△
op
{\displaystyle \operatorname {s} ({\mathcal {C}})={\mathcal {C}}^{\triangle ^{\operatorname {op} }}}
로 표기되며, 첨가 단체 대상의 범주는 보통
s
+
(
C
)
=
C
△
+
op
{\displaystyle \operatorname {s} _{+}({\mathcal {C}})={\mathcal {C}}^{\triangle _{+}^{\operatorname {op} }}}
로 표기된다.
단체 집합 은 집합 의 범주 위의 단체 대상이다. 다른 범주 위의 단체 대상 역시 마찬가지로 불린다. 예를 들어, 단체 아벨 군 (單體Abel群, 영어 : simplicial Abelian group )은 아벨 군 의 범주
Ab
{\displaystyle \operatorname {Ab} }
위 단체 대상이다.
모든 정렬 집합 과 증가 함수 의 범주
Ord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
를 생각하자.
첨가 단체 범주
△
+
{\displaystyle \triangle _{+}}
는
Ord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
가운데, 유한 집합 만으로 구성된 충만한 부분 범주 이다.
단체 범주
△
{\displaystyle \triangle }
는
Ord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
가운데, 공집합 이 아닌 유한 집합 만으로 구성된 충만한 부분 범주 이다.
준단체 범주
△
pre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pre} }}
는
Ord
{\displaystyle \operatorname {Ord} }
가운데, 공집합 이 아닌 유한 집합 들만을 대상으로 하며, 단사 함수 만을 사상으로 하는, 충만하지 않은 부분 범주이다.
다시 말해, 첨가 단체 범주는 단체 범주에 공집합을 “첨가”한 것이다.
이들은 엄밀히 말하면 작은 범주 가 아니지만, 같은 순서형 의 정렬 집합 은 서로 동형 이므로,
△
{\displaystyle \triangle }
및
△
+
{\displaystyle \triangle _{+}}
및
△
pre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pre} }}
는 각각 가산 무한 개의 동형류 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
+
{\displaystyle \triangle _{+}}
의 동형류들은 자연수 (유한 순서수 )에 대응하며,
△
{\displaystyle \triangle }
와
△
pre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pre} }}
의 동형류들은 양의 정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들과 동치 인 작은 범주 들을 취할 수 있다.
첨가 단체 범주
△
+
{\displaystyle \triangle _{+}}
는 하나의 모노이드 대상
e
{\displaystyle e}
로 생성되는 자유 모노이드 범주
(
C
,
⊗
)
{\displaystyle ({\mathcal {C}},\otimes )}
이다. 즉,
△
+
{\displaystyle \triangle _{+}}
의 대상은
e
⊗
e
⊗
⋯
⊗
e
⏞
n
(
n
∈
N
)
{\displaystyle \overbrace {e\otimes e\otimes \dotsb \otimes e} ^{n}\qquad (n\in \mathbb {N} )}
의 꼴이며, 사상들은
e
{\displaystyle e}
의 모노이드 연산
μ
:
e
⊗
2
→
e
{\displaystyle \mu \colon e^{\otimes 2}\to e}
η
:
e
⊗
0
→
e
{\displaystyle \eta \colon e^{\otimes 0}\to e}
들의 텐서곱들의 합성이다.
첨가 단체 범주
△
+
{\displaystyle \triangle _{+}}
에서, 시작 대상
e
⊗
0
{\displaystyle e^{\otimes 0}}
및 이를 정의역 또는 공역 으로 갖는 모든 사상 들을 삭제한 충만한 부분 범주 를 단체 범주
△
{\displaystyle \triangle }
라고 한다.
△
{\displaystyle \triangle }
에서,
μ
{\displaystyle \mu }
를 포함한 모든 사상들을 삭제한 (충만하지 않은) 부분 범주
△
pre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pre} }}
를 준단체 범주 라고 한다.
첨가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
△
+
op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op} }}
는 다음과 같은 작은 범주 이다.
△
op
{\displaystyle \triangle ^{\operatorname {op} }}
의 대상들은 −1 이상의 정수
n
∈
N
∪
{
−
1
}
{\displaystyle n\in \mathbb {N} \cup \{-1\}}
에 대하여
Δ
n
{\displaystyle \Delta _{n}}
이다. 이를
n
{\displaystyle n}
차원 단체 (영어 :
n
{\displaystyle n}
-simplex )라고 한다.
이 범주의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사상들의 (유한 개의) 합성으로 주어진다.
각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및
i
∈
{
0
,
1
,
…
,
n
}
{\displaystyle i\in \{0,1,\dots ,n\}}
에 대하여, 사상
∂
n
,
i
:
Δ
n
→
Δ
n
−
1
{\displaystyle \partial _{n,i}\colon \Delta _{n}\to \Delta _{n-1}}
. 이를 면 사상 (面寫像, 영어 : face morphism )이라고 하며, 이는
n
+
1
{\displaystyle n+1}
개의 면을 갖는
n
{\displaystyle n}
차원 단체의
i
{\displaystyle i}
번째 면을 뜻한다.
각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및
i
∈
{
0
,
1
,
…
,
n
}
{\displaystyle i\in \{0,1,\dots ,n\}}
에 대하여, 사상
s
n
,
i
:
Δ
n
→
Δ
n
+
1
{\displaystyle s_{n,i}\colon \Delta _{n}\to \Delta _{n+1}}
. 이를 퇴화 사상 (退化寫像, 영어 : degeneracy map )이라고 한다. 이는
i
{\displaystyle i}
번째 꼭짓점이
i
+
1
{\displaystyle i+1}
번째 꼭짓점과 일치하는 퇴화 단체를 뜻한다.
이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단체 항등식 (單體恒等式, 영어 : simplicial identity )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면의 면)
∂
n
−
1
,
i
∘
∂
n
,
j
=
∂
n
−
1
,
j
−
1
∘
∂
n
,
i
(
0
≤
i
<
j
≤
n
)
{\displaystyle \partial _{n-1,i}\circ \partial _{n,j}=\partial _{n-1,j-1}\circ \partial _{n,i}\qquad (0\leq i<j\leq n)}
(퇴화 단체의 퇴화 단체)
s
n
+
1
,
i
∘
s
n
j
=
s
n
+
1
,
j
+
1
∘
s
n
,
i
(
0
≤
i
≤
j
≤
n
)
{\displaystyle s_{n+1,i}\circ s_{n}^{j}=s_{n+1,j+1}\circ s_{n,i}\qquad (0\leq i\leq j\leq n)}
(퇴화 단체의 면)
∂
n
+
1
,
i
∘
s
n
,
j
=
{
s
n
−
1
,
j
−
1
∘
∂
n
,
i
i
<
j
id
Δ
n
i
=
j
,
j
+
1
s
n
−
1
,
j
∘
∂
n
,
i
−
1
i
>
j
+
1
(
0
≤
i
≤
n
+
1
,
0
≤
j
≤
n
)
{\displaystyle \partial _{n+1,i}\circ s_{n,j}={\begin{cases}s_{n-1,j-1}\circ \partial _{n,i}&i<j\\\operatorname {id} _{\Delta _{n}}&i=j,j+1\\s_{n-1,j}\circ \partial _{n,i-1}&i>j+1\end{cases}}\qquad (0\leq i\leq n+1,\;0\leq j\leq n)}
위 정의에서, 기하학적으로 해석이 불가능한
Δ
−
1
{\displaystyle \Delta _{-1}}
을 생략하고,
∂
0
,
0
:
Δ
0
→
Δ
−
1
{\displaystyle \partial _{0,0}\colon \Delta _{0}\to \Delta _{-1}}
을 생략하면,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
△
op
{\displaystyle \triangle ^{\operatorname {op} }}
을 얻는다. 즉,
△
+
op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op} }}
는
△
op
{\displaystyle \triangle ^{\operatorname {op} }}
와 비교했을 때 대상
Δ
−
1
{\displaystyle \Delta _{-1}}
(“−1차원 단체”) 및 사상
∂
0
,
0
{\displaystyle \partial _{0,0}}
(“0차원 단체의 유일한 −1차원 면”)을 추가로 갖는다.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 속에서, 퇴화 사상들을 포함하는 사상들을 삭제한, 충만하지 않은 부분 범주를 준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
△
pre
op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pre} }^{\operatorname {op} }}
라고 한다.
단체 범주
△
{\displaystyle \triangle }
는
△
op
{\displaystyle \triangle ^{\operatorname {op} }}
의 반대 범주 이며, 첨가 단체 범주
△
+
{\displaystyle \triangle _{+}}
는
△
+
op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op} }}
의 반대 범주 이며, 준단체 범주
△
pre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pre} }}
는
△
pre
op
{\displaystyle \triangle _{\operatorname {pre} }^{\operatorname {op} }}
의 반대 범주 이다.
이 정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순서론적 정의
대수적 정의
위상수학적 정의
크기
n
{\displaystyle n}
의 정렬 집합
(
S
,
≤
)
{\displaystyle (S,\leq )}
e
⊗
n
{\displaystyle e^{\otimes n}}
n
−
1
{\displaystyle n-1}
차원 단체
Δ
n
−
1
{\displaystyle \Delta _{n-1}}
증가 함수
f
i
n
:
k
∈
{
0
,
…
,
n
−
1
}
↦
{
k
k
<
i
k
+
1
k
≥
i
{\displaystyle f_{i}^{n}\colon k\in \{0,\dots ,n-1\}\mapsto {\begin{cases}k&k<i\\k+1&k\geq i\end{cases}}}
모노이드 곱
id
e
⊗
⋯
⊗
id
e
⏞
i
⊗
μ
⊗
id
e
⊗
⋯
⊗
id
e
⏞
n
−
i
−
2
{\displaystyle \overbrace {\operatorname {id} _{e}\otimes \dotsb \otimes \operatorname {id} _{e}} ^{i}\otimes \mu \otimes \overbrace {\operatorname {id} _{e}\otimes \dotsb \otimes \operatorname {id} _{e}} ^{n-i-2}}
면 사상
∂
n
,
i
:
Δ
n
→
Δ
n
−
1
{\displaystyle \partial _{n,i}\colon \Delta _{n}\to \Delta _{n-1}}
의 반대 사상
증가 함수
g
i
n
:
k
∈
{
0
,
…
,
n
+
1
}
↦
{
k
k
≤
i
k
−
1
k
>
i
{\displaystyle g_{i}^{n}\colon k\in \{0,\dots ,n+1\}\mapsto {\begin{cases}k&k\leq i\\k-1&k>i\end{cases}}}
모노이드 항등원
id
e
⊗
⋯
⊗
id
e
⏞
i
⊗
η
⊗
id
e
⊗
⋯
⊗
id
e
⏞
n
−
i
{\displaystyle \overbrace {\operatorname {id} _{e}\otimes \dotsb \otimes \operatorname {id} _{e}} ^{i}\otimes \eta \otimes \overbrace {\operatorname {id} _{e}\otimes \dotsb \otimes \operatorname {id} _{e}} ^{n-i}}
퇴화 사상
s
n
,
i
:
Δ
n
→
Δ
n
+
1
{\displaystyle s_{n,i}\colon \Delta _{n}\to \Delta _{n+1}}
의 반대 사상
두 전순서 집합 의 분리합집합
(
S
,
T
)
↦
S
⊔
T
{\displaystyle (S,T)\mapsto S\sqcup T}
,
s
<
S
⊔
T
t
∀
(
s
,
t
)
∈
S
×
T
{\displaystyle s<_{S\sqcup T}t\;\forall (s,t)\in S\times T}
모노이드 연산
(
e
⊗
m
,
e
⊗
n
)
↦
e
⊗
(
m
+
n
)
{\displaystyle (e^{\otimes m},e^{\otimes n})\mapsto e^{\otimes (m+n)}}
Δ
m
{\displaystyle \Delta _{m}}
과
Δ
n
{\displaystyle \Delta _{n}}
의
(
m
+
1
)
+
(
n
+
1
)
{\displaystyle (m+1)+(n+1)}
개의 꼭짓점들로 구성된 단체
Δ
m
+
n
+
1
{\displaystyle \Delta _{m+n+1}}
모든 증가 함수
{
0
,
1
,
…
,
n
}
→
{
0
,
1
,
…
,
k
}
{\displaystyle \{0,1,\dots ,n\}\to \{0,1,\dots ,k\}}
는
f
i
n
{\displaystyle f_{i}^{n}}
및
g
i
n
{\displaystyle g_{i}^{n}}
와 같은 함수들의 합성 으로 나타낼 수 있다.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이며, 완비 범주 이자 쌍대 완비 범주 라고 하자. 그렇다면, 쌍대곱 함자
C
×
Set
→
C
{\displaystyle {\mathcal {C}}\times \operatorname {Set} \to {\mathcal {C}}}
(
X
,
S
)
↦
X
⊔
S
=
∐
s
∈
S
X
{\displaystyle (X,S)\mapsto X^{\sqcup S}=\coprod _{s\in S}X}
가 존재하며, 자연 동형
hom
C
(
X
⊔
S
,
Y
)
≅
hom
Set
(
S
,
hom
C
(
X
,
Y
)
)
{\displaystyle \hom _{\mathcal {C}}(X^{\sqcup S},Y)\cong \hom _{\operatorname {Set} }(S,\hom _{\mathcal {C}}(X,Y))}
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함자
s
(
C
)
×
s
(
Set
)
→
s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s} ({\mathcal {C}})\times \operatorname {s} (\operatorname {Set} )\to \operatorname {s} ({\mathcal {C}})}
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hom
s
(
C
)
(
X
,
Y
)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s} ({\mathcal {C}})}(X,Y)}
는 자연스럽게 단체 집합 을 이룬다. 이에 따라, 단체 대상 범주
s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s} ({\mathcal {C}})}
는 단체 집합 의 데카르트 모노이드 범주 위의 풍성한 범주 를 이룬다.
첨가 단체 범주
△
+
{\displaystyle \triangle _{+}}
의 경우, 다음과 같은 모노이드 범주 를 이룬다.
{
0
,
1
,
…
,
m
−
1
}
⊗
{
0
,
1
,
…
,
n
−
1
}
=
{
0
,
1
,
…
,
m
+
n
−
1
}
{\displaystyle \{0,1,\dotsc ,m-1\}\otimes \{0,1,\dotsc ,n-1\}=\{0,1,\dotsc ,m+n-1\}}
(그 항등원은
{
0
}
{\displaystyle \{0\}}
인데, 이는
△
{\displaystyle \triangle }
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는 위와 같이 모노이드 범주 를 이루지 못한다.)
아벨 범주
A
{\displaystyle {\mathcal {A}}}
속의 준단체 대상
M
∙
{\displaystyle M_{\bullet }}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면 사상이
∂
n
,
i
:
M
n
→
M
n
−
1
(
0
≤
i
≤
n
)
{\displaystyle \partial _{n,i}\colon M_{n}\to M_{n-1}\qquad (0\leq i\leq n)}
이라고 하면,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
n
:
M
n
→
M
n
−
1
{\displaystyle \partial _{n}\colon M_{n}\to M_{n-1}}
∂
n
=
∑
i
=
0
n
(
−
)
i
∂
n
,
i
{\displaystyle \partial _{n}=\sum _{i=0}^{n}(-)^{i}\partial _{n,i}}
그렇다면,
(
M
∙
,
∂
∙
)
{\displaystyle (M_{\bullet },\partial _{\bullet })}
은 사슬 복합체 를 이룬다.
이를
M
∙
{\displaystyle M_{\bullet }}
의 무어 복합체 (영어 : Moore complex )라고 하며,
M
∙
{\displaystyle M_{\bullet }}
의 호몰로지 란 이 사슬 복합체 의 호몰로지 를 뜻한다.[ 5] :45, Definition 1.6.2
집합 과 함수 의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은 단체 집합 이라고 한다. 이는 위상 공간 의 조합론적 모형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단체 집합의 범주는 그로텐디크 토포스 를 이룬다. 이 때문에 단체 집합은 위상 공간을 대체하기 위하여 호모토피 이론 에서 널리 쓰인다.
첨가 단체 범주
△
+
{\displaystyle \triangle _{+}}
는 하나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 모노이드 범주 이므로, 다음 세 개념이 서로 동치 이다.
모노이드 범주
(
C
,
⊗
)
{\displaystyle ({\mathcal {C}},\otimes )}
속의 모노이드 대상
모노이드 함자
△
+
→
C
{\displaystyle \triangle _{+}\to {\mathcal {C}}}
C
op
{\displaystyle {\mathcal {C}}^{\operatorname {op} }}
속의 첨가 단체 대상
특히, 모든 모노이드 대상 은 그 반대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을 이룬다.
특히, 만약
C
=
hom
Cat
(
D
,
D
)
{\displaystyle {\mathcal {C}}=\hom _{\operatorname {Cat} }({\mathcal {D}},{\mathcal {D}})}
가 자기 함자 의 범주라고 하자. 그 속의 모노이드 대상 은 모나드 이며, 이 개념은 반대 범주
hom
Cat
(
D
,
D
)
op
{\displaystyle \hom _{\operatorname {Cat} }({\mathcal {D}},{\mathcal {D}})^{\operatorname {op} }}
속의 첨가 단체 대상과 동치 이다.
호몰로지 대수학 에서 등장하는 막대 복합체 와 호흐실트 사슬 복합체 는 둘 다 가군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을 이룬다.
A
{\displaystyle {\mathcal {A}}}
가 아벨 범주 라고 하고, 그 속의 단체 대상들의 범주를
s
(
A
)
=
[
△
op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s} ({\mathcal {A}})=[\triangle ^{\operatorname {op} },{\mathcal {A}}]}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 범주는
A
{\displaystyle {\mathcal {A}}}
위의, 자연수 (음이 아닌 정수) 등급을 갖는 사슬 복합체 들의 범주
Ch
≥
0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Ch} _{\geq 0}({\mathcal {A}})}
와 동치 이며, 이는 또한 모형 범주 의 퀼런 동치 를 이룬다. 이를 돌트-칸 대응 이라고 한다.
s
(
A
)
≃
Ch
≥
0
(
A
)
{\displaystyle \operatorname {s} ({\mathcal {A}})\simeq \operatorname {Ch} _{\geq 0}({\mathcal {A}})}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표수 0 의 체
K
{\displaystyle K}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범주들을 정의할 수 있다.
K
{\displaystyle K}
위의 가환 결합 대수 들의 범주
CRing
/
K
{\displaystyle \operatorname {CRing} /K}
(즉, 가환환 의 범주의 조각 범주 )
K
{\displaystyle K}
-가환 미분 등급 대수 의 모형 범주
CDGA
K
{\displaystyle \operatorname {CDGA} _{K}}
속의, 0차 성분이 자명한 (
dim
K
A
0
≤
1
{\displaystyle \dim _{K}A^{0}\leq 1}
인) 가환 미분 등급 대수
A
∙
{\displaystyle A^{\bullet }}
들로 구성된 충만한 부분 범주
CDGA
K
conn
{\displaystyle \operatorname {CDGA} _{K}^{\operatorname {conn} }}
그렇다면, 다음 두 모형 범주 사이에 퀼런 동치 가 존재하며, 이를 모노이드 돌트-칸 대응 (영어 : monoidal Dold–Kan correspondence )이라고 한다.
s
(
CRing
/
K
)
⇆
CDGA
K
conn
{\displaystyle \operatorname {s} (\operatorname {CRing} /K)\leftrightarrows \operatorname {CDGA} _{K}^{\operatorname {conn} }}